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SQL
SQL 공부와 실습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전에 간단히 개념을 정리하기 위한 글이다. 데이터의 형태에 따른 분류, 데이터베이스, SQL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자. ✨정형 데이터 vs 비정형 데이터 정형 데이터(structured data) 1) 틀이 잡혀 있는 데이터, 체계화된 데이터 2) 안정성 높음, 유연성 낮음. 3) 금융, 제조 등 대부분 기업의 업무용 DB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 1) 틀이 잡혀 있지 않고, 사전 정의가 없는 데이터 2) 별도의 분석 처리 기술 필요, 다양하고 방대한 양(빅데이터가 떠오르면서 주목받는 데이터 형태) 3) 텍스트, 이미지, 음원, 빅데이터 ✨ 데이터 베이스 어떤 것들의 기록 정보인 '데이터'를 모아둔 것을 '데이터 베이스'라고 함..
백준 2023: 신기한 소수
📃 문제: 백준 2023(신기한 소수) 2023번: 신기한 소수 수빈이가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소수이고, 취미는 소수를 가지고 노는 것이다. 요즘 수빈이가 가장 관심있어 하는 소수는 7331이다. 7331은 소수인데, 신기하게도 733도 소수이고, 73도 소수 www.acmicpc.net 수빈이가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소수이고, 취미는 소수를 가지고 노는 것이다. 요즘 수빈이가 가장 관심있어 하는 소수는 7331이다. 7331은 소수인데, 신기하게도 733도 소수이고, 73도 소수이고, 7도 소수이다. 즉, 왼쪽부터 1자리, 2자리, 3자리, 4자리 수 모두 소수이다! 수빈이는 이런 숫자를 신기한 소수라고 이름 붙였다. 수빈이는 N자리의 숫자 중에서 어떤 수들이 신기한 소수인지 궁금해졌다...
백준 11399: ATM
📃 문제: 백준 11659(구간합 구하기 5) 11399번: ATM 첫째 줄에 사람의 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각 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걸리는 시간 Pi가 주어진다. (1 ≤ Pi ≤ 1,000) www.acmicpc.net 인하은행에는 ATM이 1대밖에 없다. 지금 이 ATM앞에 N명의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 사람은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i번 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Pi분이다. 사람들이 줄을 서는 순서에 따라서, 돈을 인출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합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총 5명이 있고, P1 = 3, P2 = 1, P3 = 4, P4 = 3, P5 = 2 인 경우를 생각해보자. [1, 2, 3, 4, 5] 순서로 줄을 선다면,..